본문 바로가기
건강

<긍정훈육법>말한대로 행동하기 약속 주의하기 행동의 숨은 의도

by 태봉봉 2023. 12. 7.
반응형

아이들을 키우다 보면 말로는 알겠어요 하면서 막상 행동은 그러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그래서 부모는 아이를 믿을 수 없다고, 말을 너무 안 듣는다고, 한 두 번 속은 게 아니라고 토로하십니다. 그러다 보면 부모는 아이를 신뢰하지 못하고, 아이를 비난하고, 왜 거짓말하느냐고, 왜 약속을 지키지 않느냐고 아이를 비난하는 말을 쏟아내게 되는 것이죠. 결국 아이는 부모가 말한 그대로 부정적인 자아상을 차곡차곡 쌓게 되고 맙니다.

긍정훈육법
긍정훈육법

1. 말한대로 행동하기

아이가 말한대로 행동할 수 있게 도와주는 것까지가 부모의 역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이가 방 치우고 게임하겠다고 했다면, 게임을 시작하기 전에 방을 확인해 보고, 치우지 않았다면 방 치우고 게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죠. 아이들이 말한 대로 자기가 행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입니다.

그리고 부모 또한 말한 대로 행동하는 것, 이 일관성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자녀들은 부모가 말과 행동이 다르다는 것을 기가막히게 알아차립니다. 아이들이 어떤 선생님 말씀은 정말 잘 듣고, 어떤 선생님 말씀은 안 듣는 경우를 보셨을 겁니다. 즉, 이 어른은 말한 대로 실행하는 사람인지, 아닌지를 파악한 후에 자신들의 태도를 결정하는 것이죠.

그냥 부모가 하는 것이 빠르니깐, 아이가 공부를 하고 있으니깐, 등등의 이유로 부모가 말했던 대로가 아닌 다른 행동을 해주고 있다면 아이는 부모님은 그냥 말만 저러시고 막상 부모 말을 안 들어도 크게 상관이 없다는 것을 학습하게 될 수 있습니다.

결국, 부모 또한 내뱉은 말대로 행동하는 것이 중요하고, 자녀도 말한 대로 행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말과 행동의 일관성이 중요합니다.

2. 약속 주의하기

엄마는 거짓말쟁이, 아빠는 거짓말쟁이. 아이들이 종종 저에게 하는 말입니다. 이 단순한 워딩 안에 부모에 대한 아이의 신뢰가 어떤지 여실히 나타납니다. 왜 엄마는 아빠는 거짓말쟁이가 되었을까. 부모님 입장에서는 참 난감하고 어이없고 억울하실 지도 모르겠습니다.

어쩌면 부모가 지키지 못할 약속을 자주 만들었던 것은 아니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내일 놀이동산 가자.", "이거 다 하고 영화보러 가자." 단순히 이 상황에 아이가 말을 듣게 하기 위해 약속을 활용하고, 정작 이 약속을 부모가 잊어버리거나 상황적으로 갈 수 없는 상황이 되어버린다면 아이는 매우 큰 상실감을 느낄 것입니다. 혹은 "엄마가 아빠가 고민해 볼게."라고 한 후에 이를 부모가 잊어버리는 것 또한 아이에게는 상실감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어떤 것을 쉽게 약속하거나 고민 좀 해보겠다고 하고는 잊어버리지 말고 아이에게 "지금은 정확히 얘기할 준비가 안 됐거든. 나중에 8시에 다시 이야기해 보자." 혹은 "이번주 우리 가족회의 때 얘기할 수 있도록 까먹지 않게 적어놔 줄래?"라고 하는 것이지요. 지키지 못할 약속을 하지 않도록, 고민하는 척 하면서 거절하는 것이 아니라 부모가 생각해 보고 명확히 이에 대해 얘기할 것이라는 걸 아이에게 알려주는 게 필요한 입니다.

쉽게 아이와 약속을 덜컥 해버리면, 상황적으로 갈 수 있는 상황인지 다른 가족 구성원들의 스케줄은 어떠한지 살펴보지 않았기 때문에 나중에 곤란해질 수 있고 다들 이런 경험이 계실 겁니다. 정작 나는 약속을 지키려고 했는데, 상황이 그러지 못했던 거라고 억울하실 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아이가 원망하는 것 또한 당연한 일입니다. 따라서 아이가 왜 상황을 이해하지 못하고 원망하는지 모르겠다고 절대 아이를 탓할 수 없습니다.

3. 행동의 숨은 의도

아들러는 인간이 느끼는 가장 기본적인 욕구를 의미와 소속감이라고 보았습니다. 인간이라면 스스로가 중요하게 여겨지기를, 어딘가에 소속되기를 원한다는 것이죠. 만약 아이가 이를 느끼지 못한다면, 아이는 자신이 할 수 있는 행동을 해서 어떻게든 이 욕구를 채우고자 할 것입니다. 혹은 이를 통해서도 채워지지 못한다면 결국 포기하고 말기도 하겠죠. 아이들이 의미와 소속감을 위해 하는 잘못된 행동들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1. 과도한 관심 끌기
2. 반항하기
3. 보복하기
4. 자포자기

아이들의 이러한 행동에는 숨겨진 의도가 있는 것입니다. 이 잘못된 행동만을 보고 가르치고 혼내는 것이 아니라, 아이의 숨은 의도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한 것입니다. 문제행동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행동의 동기에 집중하시기 바랍니다. 이때 도움이 될 수 있는 방법은 아이의 행동에 대한 부모 나의 감정을 확인해 보는 것입니다.

아이의 행동에 짜증, 죄책감, 걱정이 올라온다면, 이는 아이의 관심받기 위한 행동일 수 있습니다. 나 좀 봐달라고 하는 행동일 수 있는 겁니다. 이 때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은 아이와 단 둘만의 시간을 규칙적으로 가지는 것, 아이를 하루동안 주기적으로 안아주고 눈을 맞춰주는 것, 그러면서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는 관심 갖는 방법에 대해 함께 얘기 나눠보는 것이 될 수 있습니다. "계속 조르는 행동을 하면 엄마가 불편해. 엄마의 관심이 필요할 때는 '엄마, 저 관심이 필요해요. 엄마가 안아줬으면 좋겠어요. 나랑 놀아줬으면 좋겠어요. 이야기하고 싶어요.'라고 말하면 돼." 아이가 조를 때는 무시하고, 말로써 자신의 마음을 표현할 때 바로 관심을 준다면 아이는 관심받기 위한 적합한 방법을 찾아갈 수 있을 것입니다.

아이의 행동에 분노를 느낀다면, 아이는 반항하는 모습을 통해 나도 할 수 있다는 말을 하고 있는 것일 수 있습니다. "나도 할 수 있어요. 나한테도 선택권을 좀 주세요."라는 목소리인 것입니다. 이 때는 지나치게 부모가 통제하고 있었던 것은 아닌지 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이에 대해 표현해주시면 좋습니다. "아빠가 너무 아빠 맘대로만 했지? 왜 00 이가 반항했는지 알 것 같아."라면서 아이와 이야기를 나눠보는 것이죠. 아이와 부모 모두 진정이 됐을 때 해결 방법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보면 좋겠습니다.

아이의 행동에 상처받고, 실망, 싫증을 느낀다면 아이는 보복하고자 하는 의도일 수 있습니다. 아이의 보복에 부모가 상처받았다며 아이를 탓하며 거부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이런 아이는 상대에게 상처를 주는 만큼 자신도 상처투성이일 수 있습니다. "나 상처 받았어요. 내 감정을 확인해 주세요"라는 목소리를 내고 있는 것이죠. 이 때는 아이의 마음의 상처를 확인해 봐야 할 때입니다. 부모의 어떤 행동이 아이에게 상처였는지 이야기를 나눠보면서 아이의 상처받은 부분이 치유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합니다.

아이의 행동에 절망감과 무기력감이 느껴질 때, 아이는 자포자기 상태일 수 있습니다. "나를 포기하지 마세요.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어요. 도와주세요."라는 목소리를 내고 있는 것일 수 있습니다. 이 때는 아이가 작은 일에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할 때입니다. 배우면서 성장할 수 있음을 느낄 수 있도록 말이죠. 아이가 작은 용기와 희망으로부터 점점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할 할 때입니다.

결국 이로부터 아이의 문제행동이라고만 보였던 것들이 실은 아이의 숨겨진 목소리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내가 관심받고 싶다고, 나도 할 수 있다고, 나 상처 받았다고, 나 좀 어떻게 도와달라고 sos를 보내고 있던 것이죠. 이렇게 바라본다면, 부모님들께서 아이의 문제행동에 휘청거리지 않으실 수 있습니다. 아이들을 제대로 파악할 때, 아이들의 행동에서 숨은 의도를 파악할 때 부모는 제대로 된 방향성을 잡아갈 수 있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