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건강30

<긍정훈육법> 허용범위기준 일과 정하기 10세 미만의 아이에게는 허용범위를 정해줘야 하고, 십 대부터는 아이에게 허용범위 기준을 정하는데 동참하도록 해야 합니다. 아이는 점점 커져가는데 부모가 여전히 어릴 때와 동일한 허용범위로 통제해서는 안 되는 것이죠. 점차 범위를 넓혀가야 하고 그 과정에도 참여시켜야 합니다. 그 시기를 결정하는 것이 부모에게는 참 어려울 수 있는데, 아이들과 정기적인 가족회의를 연다면 그 시기를 알아채기 쉬울 수 있습니다. 1. 허용범위기준 만약 아이가 정해진 허용범위를 계속해서 넘어서는 행동을 한다면, 아직 준비가 되지 않은 것일 수 있고 따라서 아이가 감당할 수 있는 만큼의 자유와 책임감을 주며 준비시키는 과정이 필요한 것이죠. 여기서 주의해야할 것은, 자연적인 결과를 통해 아이들이 배울 수 있는 기회조차 정해줄 필.. 2023. 12. 6.
<긍정훈육법> 의사소통을 위한 경청능력 많은 부모님들께서 아이에게 정보를 주고 설명하는 것은 잘하시는 편인 것 같습니다. 그런데 잘 안 되는 부분은 바로 아이들이 스스로 생각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입니다. 정보를 주고 설명하는 데는 입이 필요하지만 아이들이 스스로 생각하도록 돕는 데는 귀가 필요합니다. 즉, 잘 듣는 경청능력을 개발해야만 합니다. 이를 위해 도움이 될 수 있는 세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의사소통 호기심 질문하기 끊임없이 주어지는 정보 속에서 아이는 스스로 생각하는 법을 배울 수 없습니다. 마치 아이에게 무엇을 생각해야 하는지 계속 주입을 하는 식이 되는 거죠. 그러면 아이들은 커가는 과정에서 어려움이 닥칠 때마다 자신에게 답을 줄 수 있는 누군가를 계속해서 찾게 되고 의지하게 됩니다. 도무지 스스로 생각해 보는 경험을 해본 .. 2023. 12. 5.
반응형